1958년 아시안 게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8년 아시안 게임은 아시아 국가들이 참가하는 다종목 스포츠 대회로, 일본 도쿄에서 개최되었다. 이 대회는 13개의 스포츠, 97개의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올림픽 종목이 아닌 유도, 탁구, 테니스, 배구 등이 포함되었다. 성화 봉송이 처음으로 도입되었으며, 20개국에서 1,820명의 선수단이 참가했다. 개회식에는 일본 천황 히로히토가 참석했으며, 1964년 도쿄 올림픽 유치를 목표로 진행되었다. 대한민국은 마라톤에서 이창훈 선수가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일본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8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1958년 브리티시 엠파이어 코먼웰스 게임
1958년 브리티시 엠파이어 코먼웰스 게임은 웨일스 카디프에서 35개국이 참가한 국제 종합 스포츠 대회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 논란 속에서 스포츠를 통한 국가 간 유대감 강화와 문화 교류에 기여했다. - 1958년 6월 - 제8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제8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는 1958년에 개최되었으며, 잉마르 베리만의 《산딸기》가 황금곰상을, 이마이 타다시의 《순애 이야기》가 감독상을 수상했다. - 1958년 6월 - 1958년 세계 박람회
1958년 브뤼셀에서 열린 세계 박람회는 "더 인간적인 세상을 위한 세계의 평가"라는 주제로 기술 및 과학 발전, 원자력 윤리적 사용을 논하며 4,150만 명의 방문객을 유치, 아토미움과 국가관들을 통해 냉전 시대 문화, 정치적 역학을 반영하고 벨기에령 콩고 구역의 '인간 동물원' 논란을 야기했다. - 1958년 5월 - 제2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제2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1958년 5월 22일에 실시되어 55년 체제 출범 후 처음 치러진 선거로, 자유민주당이 압승하고 일본사회당이 그 뒤를 이었으며, 남녀 보통선거 실시 이후 최고 투표율을 기록하며 일본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58년 5월 -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여야 합의로 제정된 협상선거법에 따라 완전 소선거구제를 채택하여 치러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는 자유당의 과반수 의석 확보 승리에도 불구하고 부정선거 의혹과 여촌야도 현상, 그리고 권위주의 통치에 대한 반발을 드러냈다.
1958년 아시안 게임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제3회 아시아 경기 대회 |
로마자 표기 | Je3hoe Asia Gyeonggi Daehoe |
현지 대회 명칭 (일본어) | 第3回アジア競技大会 |
현지 대회 명칭 (일본어 로마자) | Dai 3-kai Ajia Kyōgi Taikai |
현지 대회 명칭 (약칭) | 東京1958 |
모토 | 영원히 나아가자 |
영어 모토 | Ever Onward |
개최 도시 | 도쿄, 일본 |
참가국 | 20개국 |
참가 선수 | 1,820명 |
경기 종목 | 13개 종목, 112개 세부 종목 |
개막일 | 1958년 5월 24일 |
폐막일 | 1958년 6월 1일 |
개회 선언 | 히로히토 천황 |
선수 선서 | 정보 없음 |
심판 선서 | 정보 없음 |
성화 점화 | 오다 미키오 |
주 경기장 | 국립 경기장 |
이전 대회 | 마닐라 1954 |
다음 대회 | 자카르타 1962 |
![]() | |
![]() |
2. 역사적 배경
아시안 게임은 하계 올림픽과 매우 유사한(규모는 훨씬 작지만) 다종목 스포츠 대회로, 아시아 국가만 참가할 수 있다. 제1회 대회는 1951년 인도 뉴델리에서 개최되었으며, 11개국에서 489명의 선수들이 참가했다.
2. 1. 대회 유치 과정
이번 대회는 1964년에 개최될 하계 올림픽의 도쿄 유치를 목표로 개최되었다. 대회에 앞서 국제 올림픽 위원회 총회(IOC 총회)가 열렸고, 개회식에서 1896년 제1회 아테네 올림픽에서 연주된 올림픽 찬가가 62년 만에 복원되어 연주되었다. 그 이듬해 IOC 총회에서 1964년 도쿄 올림픽 개최가 결정되었다. 이 대회부터 처음으로 성화 봉송이 실시되었는데, 이때의 성화는 필리핀의 마닐라에서 점화된 것이었다. 성화 봉송 최종 주자는 오다 미키오가 맡았다.[1]3. 경기 종목
1958년 도쿄 아시안 게임에서는 13개 종목, 97개 세부 종목 경기가 진행되었다.[1][2][3][4] 이 중 유도, 탁구, 테니스, 배구는 당시 올림픽 정식 종목이 아니었다. 1962년부터 아시안 게임의 정식 경쟁 종목이 된 배드민턴과 유도는 시범 종목으로 추가되었다.[5]
4. 성화 봉송
1958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올림픽 경기를 본떠 성화 봉송의 전통이 처음으로 도입되었다.[6] 성화 봉송은 제2회 아시안 게임의 주 경기장인 필리핀 마닐라의 리잘 메모리얼 스타디움에서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 개최국인 일본에서는 오키나와섬에서 큐슈섬으로 봉송되었다. 오키나와는 당시 미국 행정부의 통치를 받고 있었다. 개막식에서는 일본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자 개인 종목 아시아 최초의 올림픽 챔피언인 오다 미키오가 성화대에 불을 붙였다.[6][7] 이때의 성화는 필리핀 마닐라에서 점화된 것이었다. 성화 봉송 최종 주자는 오다 미키오가 맡았다.
5. 참가국
총 20개국이 참가하였다.
아시아 경기 연맹의 20개 회원국에서 총 1,820명의 선수단이 경기에 참가했다. 참가 국가 수는 이전 두 번의 대회보다 가장 많았다.
1958년 5월 22일, 태국 대표단이 도쿄에서 회의를 열어 말레이시아, 버마, 라오스 대표에게 초청장을 보냈다. 이 회의의 의제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을 위한 아시안 게임과 유사한 지역 규모의 종합 스포츠 행사를 창설하는 가능성을 논의하는 것이었다. 이로써 나중에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가 된 동남아시아 반도 게임(SEAP 게임)이 설립되었고, 제1회 SEAP 게임은 1959년 태국 방콕에서 개최되었다.[8]
참가 국가 올림픽 위원회 |
---|
IOC 문자 코드 | 국가 | 선수 |
---|---|---|
JPN | Japan|일본일본어 | 287 |
PHI | Philippines|필리핀tl | 152 |
ROC | Republic of China|중화민국중국어 | 136 |
KOR | South Korea|대한민국한국어 | 120 |
PAK | Pakistan|파키스탄ur | 87 |
IRN | Iran|이란fa | 83 |
HKG | Hong Kong|홍콩영어 | 80 |
MAL | Malaysia|말라야 연방ms | 80 |
IND | India|인도hi | 79 |
INA | Indonesia|인도네시아id | 66 |
SGP | Singapore|싱가포르영어 | 54 |
THA | Thailand|태국th | 47 |
BIR | Burma|버마my | 36 |
VNM | Vietnam|베트남 공화국vi | 32 |
ISR | Israel|이스라엘he | 23 |
CAM | Cambodia|캄보디아km | 12 |
CEY | Sri Lanka|실론si | 11 |
AFG | Afghanistan|아프가니스탄영어 | 8 |
NBO | North Borneo|북보르네오영어 | 8 |
NEP | Nepal|네팔ne | 7 |
6. 개회식
1958년 5월 24일 국립 경기장에서 열렸다. 이 행사에는 일본 천황 히로히토, 황태자 아키히토, 이란의 샤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를 비롯한 여러 귀빈과 내빈이 참석했다. 약 7만 명이 개회식에 참석했다.[1]
1964년 하계 올림픽 도쿄 유치를 목표로 개최된 이번 대회에 앞서 국제 올림픽 위원회 총회(IOC 총회)가 열렸고, 개회식에서 제1회 아테네 올림픽에서 연주된 올림픽 찬가가 62년 만에 복원되어 연주되었다.[1] 그 이듬해 IOC 총회에서 도쿄 올림픽 개최가 결정되었다. 그 해는 제14회 국민체육대회가 도쿄도에서 개최되었다. 또한, 이 대회부터 처음으로 성화 봉송을 실시했는데, 이때의 성화는 필리핀의 마닐라에서 점화되었으며, 성화 봉송 최종 주자는 오다 미키오가 맡았다.[1]
7. 대회 진행
1958년 도쿄 아시안 게임은 97개의 세부 종목과 13개의 스포츠로 구성되었다.[1][2][3][4] 당시 올림픽 정식 종목이 아니었던 유도,[1] 탁구,[2] 테니스,[3] 배구[4]가 포함되었다. 배드민턴은 시범 종목으로 추가되었고, 1962년 대회부터 정식 종목이 되었다.[5] 유도 또한 시범 종목이었다.
대회 일정은 아래 표와 같다. 파란색 상자는 예선, 노란색 상자는 메달 결정전을 나타낸다.
OC | 개회식 | ● | 경기 | 1 | 결승전 | CC | 폐회식 |
1958년 5월 / 6월 | 24일 (토) | 25일 (일) | 26일 (월) | 27일 (화) | 28일 (수) | 29일 (목) | 30일 (금) | 31일 (토) | 1일 (일) | 금메달 |
---|---|---|---|---|---|---|---|---|---|---|
행사 | OC | CC | ||||||||
15px 육상 | 5 | 6 | 6 | 5 | 9 | 31 | ||||
15px 농구 | ● | ● | ● | ● | ● | ● | ● | 1 | 1 | |
15px 복싱 | ● | ● | ● | 10 | 10 | |||||
15px 사이클 – 도로 | 2 | 2 | ||||||||
15px 사이클 – 트랙 | ● | 1 | ● | 2 | 1 | 4 | ||||
15px 다이빙 | 1 | 1 | 1 | 1 | 4 | |||||
15px 필드 하키 | ● | ● | ● | ● | 1 | 1 | ||||
15px 축구 | ● | ● | ● | ● | ● | ● | 1 | 1 | ||
15px 사격 | 1 | 2 | 1 | ● | 1 | 1 | 6 | |||
15px 수영 | 6 | 5 | 5 | 5 | 21 | |||||
15px 탁구 | ● | ● | 2 | ● | ● | ● | 5 | 7 | ||
15px 테니스 | ● | ● | ● | ● | 2 | 3 | 5 | |||
15px 배구 | ● | ● | ● | ● | ● | ● | 2 | 2 | ||
15px 수구 | ● | ● | ● | 1 | 1 | |||||
15px 역도 | 2 | 2 | 2 | 2 | 8 | |||||
15px 레슬링 | ● | ● | 8 | 8 | ||||||
금메달 총계 | 8 | 11 | 19 | 16 | 18 | 12 | 24 | 4 | 112 | |
1958년 5월 / 6월 | 24일 (토) | 25일 (일) | 26일 (월) | 27일 (화) | 28일 (수) | 29일 (목) | 30일 (금) | 31일 (토) | 1일 (일) | 금메달 |
이 대회는 1964년 하계 올림픽 유치를 목표로 개최되었다. 대회에 앞서 IOC 총회가 열렸고, 개회식에서는 1896년 제1회 아테네 올림픽에서 연주된 올림픽 찬가가 62년 만에 복원되어 연주되었다. 이듬해 IOC 총회에서 1964년 도쿄 올림픽 개최가 결정되었다. 그 해 제14회 국민체육대회가 도쿄도에서 개최되었다.
이 대회부터 처음으로 성화 봉송이 실시되었는데, 성화는 필리핀 마닐라에서 점화되었고, 오다 미키오가 최종 주자를 맡았다.
폐회식에서는 마츠자와 잇카쿠가 빛을 사용한 이별 분위기를 연출하여 IOC 위원들을 놀라게 했고, 1960년 로마 올림픽 폐회식에서도 이를 모방했다.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국립 경기장)은 이 대회를 위해 구 메이지 신궁 외원 경기장을 해체하고 건설되었다.
대회는 성공적으로 끝났지만, 입장권이 예정 수량 이상 판매되어 관람하지 못하는 해프닝이 발생했다.
대회 중, 중화민국 국기를 거꾸로 게양하는 실수가 발생했다.
7. 1. 주요 기록
1958년 도쿄 아시안 게임에서는 97개 세부 종목, 13개 스포츠가 진행되었다.[1][2][3][4] 당시 올림픽 정식 종목이 아니었던 유도, 탁구, 테니스, 배구가 포함되었다.[5] 배드민턴은 시범 종목으로 추가되었으며, 1962년 아시안 게임부터 정식 종목이 되었다. 유도 또한 시범 종목이었다.
8. 폐회식
폐회식에서는 식전 부장인 마쓰자와 잇카쿠에 의해 빛을 사용하여 이별 분위기를 자아내는 연출이 도입되었다.[1] 이 연출은 IOC 위원들을 놀라게 했고, 1960년 로마 올림픽의 폐회식에서도 모방되었다.[1]
9. 메달 집계
1958년 아시안 게임의 메달 집계는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서 발행하는 메달 집계 방식과 동일하게, 각 국가 선수들이 획득한 금메달 수를 기준으로 순위가 정해진다. 금메달 수가 같을 경우 은메달 수, 그다음 동메달 수를 따르며, 그래도 동률이면 IOC 국가 코드에 따라 알파벳순으로 나열한다.[10]
이 대회에서는 총 16개국이 메달을 획득했고, 그 중 11개국이 하나 이상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아프가니스탄, 캄보디아, 네팔, 북보르네오는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10] 일본의 혼계영 팀은 하세 게이지(배영), 후루카와 마사루(평영), 고가 마나부(자유형), 이시모토 다카시(접영)로 구성되어 4m 17.2초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기록을 갱신했다.[10]
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일본 | 67 | 41 | 30 | 138 |
2 | 필리핀 | 8 | 19 | 21 | 48 |
3 | 대한민국 | 8 | 7 | 12 | 27 |
4 | 중화민국 | 6 | 9 | 10 | 25 |
5 | 파키스탄 | 6 | 5 | 4 | 15 |
6 | 인도 | 5 | 3 | 3 | 11 |
7 | 이란 | 4 | 6 | 6 | 16 |
8 | 남베트남 | 2 | 0 | 0 | 2 |
8 | 미얀마 | 2 | 0 | 0 | 2 |
10 | 싱가포르 | 1 | 1 | 0 | 2 |
11 | 실론 | 1 | 0 | 0 | 1 |
12 | 인도네시아 | 0 | 2 | 4 | 6 |
13 | 태국 | 0 | 1 | 3 | 4 |
14 | 말라야 연방 | 0 | 0 | 2 | 2 |
14 | 이스라엘 | 0 | 0 | 2 | 2 |
16 | 홍콩 | 0 | 0 | 1 | 1 |
합계 | 112 | 112 | 126 | 350 |
10. 대회 이모저모
- 이창훈이 마라톤에서 2시간 32분 55초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 대회 공식 슬로건은 '''영원한 전진 (Ever Onward)'''이었다.
- 이번 대회는 1964년 하계 올림픽의 도쿄 유치를 목표로 개최되었다. 대회에 앞서 국제 올림픽 위원회 총회(IOC 총회)가 열렸고, 개회식에서는 제1회 아테네 올림픽에서 연주된 올림픽 찬가가 62년 만에 복원되어 연주되었다. 그 이듬해 IOC 총회에서 도쿄 올림픽 개최가 결정되었다.
- 이 대회부터 처음으로 성화 봉송이 실시되었는데, 성화는 필리핀의 마닐라에서 점화되었고, 최종 주자는 오다 미키오였다.
- 폐회식에서는 식전 부장인 마츠자와 잇카쿠가 빛을 사용하여 이별 분위기를 자아내는 연출을 도입하였다. 이 연출은 국제 올림픽 위원회 위원(IOC 위원)들을 놀라게 했고, 1960년 로마 올림픽 폐회식에서도 모방되었다.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국립 경기장)은 이 대회를 위해 구 메이지 신궁 외원 경기장을 해체하고 건설되었다.
- 대회는 성공적으로 끝났지만, 입장권이 예정 수량 이상 판매되어 구매자가 관람하지 못하는 해프닝이 각 경기장에서 발생했다.
- 대회 중, 중화민국 국기를 거꾸로 게양하는 실수가 발생했다.
11. 기념 발행물
1958년 아시안 게임 개최를 기념하여 우정성(현재의 일본우편)이 1958년 5월 24일에 기념 우표 4종류를 발행했다. 액면가는 당시 국내 및 국제 우편(선편)의 엽서와 봉서의 기본 요금과 같았기 때문에 각각 달랐다.[1]
12. 영향 및 유산
아시안 게임은 하계 올림픽과 매우 유사한 (규모는 훨씬 작지만) 다종목 스포츠 대회로, 아시아 국가만 참가할 수 있다. 제1회 대회는 1951년 인도 뉴델리에서 개최되었으며, 11개국에서 489명의 선수들이 참가했다.
12. 1.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창설
1958년 5월 22일, 태국 대표단은 도쿄에서 회의를 열어 말레이시아, 버마, 라오스 대표에게 초청장을 보냈다. 이 회의의 의제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을 위한 아시안 게임과 유사한 지역 규모의 종합 스포츠 행사를 창설하는 가능성을 논의하는 것이었다. 이로써 나중에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가 된 동남아시아 반도 게임(SEAP 게임)이 설립되었고, 제1회 SEAP 게임은 1959년 태국 방콕에서 개최되었다.[8]
참조
[1]
웹사이트
Judo at the 1964 Tokyo Summer Games – Overview
https://web.archive.[...]
Sports Reference
2014-01-04
[2]
웹사이트
Table tennis at the 1988 Seoul Summer Games – Overview
https://web.archive.[...]
Sports Reference
2014-01-04
[3]
뉴스
2 More Olympic Games
https://www.nytimes.[...]
2014-01-04
[4]
웹사이트
Volleyball at the 1964 Tokyo Summer Games – Overview
https://web.archive.[...]
Sports Reference
2014-01-04
[5]
웹사이트
Badminton – History
http://www.doha-2006[...]
Doha-2006.com (via [[Wayback Machine]])
2014-01-04
[6]
웹사이트
III Asian Games
https://web.archive.[...]
Pakistan Sports Board
2014-01-08
[7]
뉴스
Interview with Mikio Oda, first Japanese Olympic gold medallist
http://www.iaaf.org/[...]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thletics Federations
2014-01-08
[8]
뉴스
Lofty ideals that shaped SEA Games – Member countries
https://news.google.[...]
2014-01-03
[9]
간행물
Events & Discoveries – Asian Games
https://web.archive.[...]
2014-01-03
[10]
간행물
A worldwide roundup of the sports information of the week
https://web.archive.[...]
2014-01-03
[11]
서적
SAYONARA国立競技場56年の軌跡 1958-2014
朝日新聞出版
[12]
웹사이트
"「東京ビクトリー〜奇跡が導いた東京五輪1964〜」 2018年3月3日(土)放送内容"
https://web.archive.[...]
2019-08-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